2000년 유럽판 월스트릿저널에 실렸다는 원숭이 주식투자이야기는 아마 다들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1년간 4번에 걸쳐 주식투자 전문가, 아마추어 주식투자자, 원숭이, 총 3개의 그룹이 추천한 종목의 수익률을 비교하니 원숭이의 성적이 가장 좋았다라는..




주식투자는 공부하거나 분석한다고 되는 문제가 아니라는 중요한 함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에다 주식투자를 업으로 삼는 전문가들에게 믿고 맡겼던 펀드 투자가 30% 하락이라는 처참한 결말로 귀결된 개인적인 경험은 주식은 공부나 분석으로 답을 찾을 수 없다라는 확신을 공고히 해 주었습니다.


당연한 결론일지도 모릅니다. 분석으로 해결된다면 슈퍼컴퓨터로 모든 변수를 분석해서 주식투자에 100% 성공하는 방법이 이미 개발되었겠지요. 현실은 컴퓨터로 날씨를 예측하는 것만큼이나 어려운 것이 주식의 향방을 예측하는 것이라고들 합니다.


그런데 잠깐!  매일의 날씨를 예측하는 것은 힘들지만 큰 틀에서 보면 너무나 명확하게 움직이는 것들이 있습니다. 이것은 누구나 예측이 가능한 것들이지요. 여름이 되면 더워진다, 겨울에는 추워질 거다. 여름에는 비가 많이 오고 겨울에는 눈이 많이 온다.


이런 원숭이도 예측이 가능한 자명한 대세 예측을 주식투자에 적용해 본다면??  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또하나 주식 투자를 함에 있어 고려한 사항은 투자가 제 본업이 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저는 저의 직업이 있고 이 직업에서 얻은 근로수익을 1% 금리 시대에 어떻게 재테크할 것인가?  가 고민인 상황입니다. 저의 주식 공부나 분석이 투자전문가, 펀드매니져의 수준에 도달할 수 없다는 것은 너무나 명확합니다. 그 수준에 이르는 것이 과연 투자 성적과 직결되느냐하는 의문을 차치하고서라도..


작년에 있었던 한X약품의 악재에 따른 주가급락으로 50%의 투자손실을 입었던 건도 제게는 큰 교훈이었습니다. 평범한 일반투자자인 저로서는 불법적으로 새어나간 악재성 공시를 미리 접할 길이 없었고 이는 앞으로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저는 종일 컴퓨터 앞에 앉아 주식 변동을 체크하며 시시각각 대처할만 여유가 없는 샐러리맨이고, 이른바 '고급정보'에 접근할 루트도 없는 평범한 사람입니다. 아마도 주식투자에 나선 일반 개미의 대다수가 저와 같은 처지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거기에 저의 투자 성향은 수 년을 내다보고 대박을 터뜨리지는 못해도 적당한 이익을 추구하면서 큰 손실을 꼭 회피하고 싶은 성향입니다.


정리하자면 저의 상황은

1. 자명한 대세 예측이 통하는 주식투자를 해야 한다.

2. 주가의 변동에 시시각각 대처할 시간적 여유가 없는 일반 투자자이다.

3. 개미가 접근할 여지가 없는 '고급 정보'에 휘둘릴 가능성이 작은 시장이어야 한다.

4. 장기 투자를 목표로하고 최대한 손실 위험을 적게 감수하고 싶다.


이상의 생각과 개인적인 경험은 저의 투자처를 '미국주식시장'으로 귀결되게 하였습니다.


2년 남짓 짧게나마 살아보았던 미국은 제게 있어 혁신이 통하고 기회가 열린 땅이라는 이미지입니다. 웨어러블 기기인 핏빗의 공동창업자인 한국인이 IPO로 6천억원의 자산가가 되었다는 이야기를 다들 아실 겁니다. 작은 아이디어라도 현실화시킬 수 있는 기술이 있고, 그것이 곧바로 막대한 이익으로 직결되는 땅. 결국 넓은 시장이 있기에 가능한 아메리칸드림일 것입니다.


큰 틀에서 주식시장이 계속 발전해 나아가야하고, 한 두 건의 성공이나 실패에 의해, 혹은 속칭 '작전세력'이 동원한 -글로벌 스탠다드에서 보면- 작은 돈에 의해 주식이 급등락하지 않는 큰 시장. 결국 국내가 아니라 넓은 미국의 주식시장으로 눈을 돌리게 된 이유입니다.


한 10년 전만 되어도 생각만하지 행동으로 옮기지는 못하였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제 안방에 앉아, 혹은 스마트 폰으로 걸어다니면서도 미국 주식을 사고팔 수 있는 IT 시대가 열렸습니다. 그런데도 좁은 우물안에 앉아 있는 것은 나태한 것이거나 투자자로서의 직무를 유기한 것일 겁니다.


자, 그렇다면 미국 주식이 어떤지 살펴보시지요. 누가보아도 발전할 것이 자명한 기업들의 주가 변동을 확인해보았습니다.


1. 잡스 시절 혁신의 선두에 있었고, 누가뭐래도 여전히 스마트폰 시장에서 최대의 이익을 구가하면서, 올 하반기 아이폰 7S로, 혹은 8으로 또 한번의 혁신을 일으킬 애플.


부침은 있지만 큰 틀에서 우상향이 지속되었습니다. 만약 10년 전인 2002년에 주식을 샀다면 주당 12.11 USD. 현재 135.72 USD이니 11배의 이익을 남겼겠군요.


2. 유통의 혁신, 기계로 자동화된 물류 시스템과 계산대없는 자동 계산, 가정을 통합하는 AI 알렉사 출시 등 단순한 온라인 장터와는 차원을 달리하는 아마존.


역시 대세를 보면 꾸준한 우상향이 보입니다. 10년 전에 주식을 샀다면 40.78 USD, 현재 845.07 USD 이므로 20배의 이익을 얻었을 겁니다.


3. 언제나 예측 그 이상의 사업모델을 제시하는 진정한 IT 기업, 구글.


이제는 익숙해지는 꾸준한 우상향의 그래프입니다. 10년 전 주식이 235.55 USD. 지금까지 가지고 있었따면 3.6 배의 이익이었을 겁니다.


그럼 이제 한국의 대표 주식을 볼까요?  역시 누가봐도 대표기업인 회사를 봅시다.


1. 한국하면 삼성전자. 이론의 여지가 없습니다.


얼핏 우상향인 듯 보이나 2012년 부터 16년까지 4년간 박스권에 갇힌 것이 두드러집니다. 2016년 말 예상외로 주가가 급등하였지만, 이번엔 기업 자체의 역량과는 무관한 정치적인 이슈에 얽힌 뒤숭숭한 분위기라 어떻게 귀결될 지 모르겠습니다.


2. 한국의 또 다른 대표기업 현대자동차.























앞서의 그래프들과 사뭇 다른 점이 보입니다.


3. 한국의 대표 IT 기업. 한국인 삶에 연관되지 않은 분야가 없는 대표 기업 네이버.

다양한 사업분야를 보건대 앞으로도 성장할 것이 자명하다고 믿고 투자했던 저를 좌절하게 한, 삼성전자에서 보였던 저 답답한 박스권이 다시 보이고 있습니다.



결론은, 컴퓨터 앞에 앉아 시시각각 대처할 여력도 없고, 불법적으로 새어나온 '고급정보'에 접할 길도 없는 평범한 샐러리맨 개미인 저로서는 장기투자를 생각하고 누가봐도 발전이 자명한 기업들에게 믿고 돈을 묻어둘만한 미국 주식 투자가 답이라는 것이었습니다.


물론 제가 가려고 하는 이 길이 정답인지 저는 모릅니다. '주식투자 고수'가 보기에는 한가한 소리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저 스스로도 저의 이 결론이 맞는 길인지 무척 궁금합니다.

그래서 투자를 시작해보기로 하였습니다. 제 투자성향에 맞게 철저히 여윳돈만 소량씩 투자할 생각입니다. 일단 투자된 기업은 기본적으로 10년을 바라보고 묻어둘 계획입니다.


저의 이 소박하면서도 야심찬 실험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함께 지켜봐 주십시오.

+ Recent posts